
다시한번 버핏 형님의 위대함을 느끼면서 공부한 내용 정리.
버핏형 투자 or 캐시우드형 투자.
나한테 맞는 스타일이 어떤 유형인지부터 파익해보자.
그럼 시작.
1. 버핏이 주목한 종목과 투자 전략
2023년 1분기부터 비밀리에 매수했던 종목이 밝혀짐: 보험사 ‘처브(Chubb)’
보험업을 유사 은행업으로 보고, 안정적인 수익 창출 능력을 가진 기업을 선호.
꾸준한 영업이익 증가와 경쟁사 대비 높은 현금 창출 능력에 주목.
보험료 인상(10%)을 통해 수익성 강화.
버핏이 꾸준히 매수하는 업종: 정유주
옥시덴탈 페트롤리엄 지속 매수.
1955년부터 정유업에 투자했으며, 장기적인 유가 상승을 전망.
기업들의 낮은 설비투자와 공급 부족으로 인해 정유업이 안정적인 수익원이라는 판단.
현재 높은 배당 및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주 환원 정책이 강화되고 있음.
버핏의 대규모 매도: 애플
포트폴리오 내 애플 비중을 50% → 25%로 대폭 축소.
애플을 "모토로라·노키아처럼 성장 동력이 둔화된 기업"으로 볼 가능성.
AI 관련 투자보다는 전통적인 가치 투자 원칙을 유지하는 모습.
2. 버핏의 투자 철학과 전략 변화
주식 비중 축소 & 현금 보유 증가
2023년 내내 미국 주식 비중을 꾸준히 줄이고 있음.
현재 버크셔 해서웨이의 현금 보유량 사상 최대.
시장이 고평가되었다고 보고, 적절한 투자 기회가 올 때까지 대기하는 전략.
최근 매수 종목: ‘컨스텔레이션 브랜즈(Constellation Brands)’
대표적인 멕시코 맥주 브랜드(모델로, 코로나) 보유 기업.
트럼프의 멕시코 관세 정책 영향으로 주가 하락, 이를 매수 기회로 활용.
적자 사업(와인·증류주) 정리 후, 맥주 사업에 집중 → 현금 창출력 증가 전망.
자사주 매입 및 배당 확대 발표 → 장기 투자 매력 증가.
3. 캐시 우드 vs. 워런 버핏: 완전히 다른 전망
버핏:
현금 보유 확대, 하락장 대비.
주식시장 집중도가 높아져서, 대장주(애플 등)가 둔화되면 하락장 온다고 판단.
캐시 우드:
트럼프 재선 시 "역대급 불장" 올 것으로 예상.
1980년대 레이건 시대와 비슷한 환경(금리 하락, 규제 철폐, 감세).
소형 성장주, 크립토, 헬스케어(AI 기반 바이오 혁신) 주목.
"야성적 충동(Animal Spirits)"이 시장을 다시 끌어올릴 것이라고 주장.
4. 시장의 향후 전망과 주요 변수
트럼프 재선 시 예상되는 경제 흐름:
감세, 규제 철폐 → 기업 성장 촉진.
강달러 유지, 인플레이션 하락 전망.
크립토, 소형 성장주, 헬스케어 산업 성장 가능성.
우려 요소:
재정적자 확대 가능성(캐시는 "기술 혁신으로 성장률이 부채 증가율을 초과할 것"이라 주장).
관세 부과 및 보호무역 정책이 글로벌 무역에 미칠 영향.
주식시장 내 대형주(애플 등)의 성장 둔화가 전체 시장에 미치는 영향.
5. 결론
- 버핏은 방어적 투자 전략(현금 확보, 가치주 중심) → 경제 불확실성 대비
- 캐시 우드는 트럼프 시대의 초강세장을 전망 → 규제 철폐·감세가 촉진할 성장주 주목
- AI, 크립토, 바이오 등 혁신산업이 핵심 변수 → 장기 투자자라면 주목해야 할 변화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본격화에 따른 주요 수혜기업 분석 및 투자 전략 (0) | 2025.03.16 |
---|---|
美 고용보고서부터 관세 정책까지! 지금 주목해야 할 투자 기회는? (1) | 2025.03.08 |
K-방산 투자 전망과 국제 정세 (0) | 2025.03.06 |
트럼프 관세 보호무역에서 수익 향상 산업과 대표 기업 분석 (0) | 2025.03.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