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연일 언론에서 부동산 가격 하락에 대해 뉴스가 나오고 있고, 그에 따라 고통의 소리도 이곳저곳에서 들립니다. 도대체 이 하락이 언제까지 이어질지만 알아도 참을만 하겠는데... 그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오늘은 부동산 가격 하락이 언제까지 하락할지 판단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소득대비 주거비용
예전부터 투자의 거장들은, 매수시 시점을 잘 잡던가 가격을 잘 잡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현재 주택가격 하락의 주요 원인은 누가 뭐래도 급격한 금리 인상이죠. 근데 이 금리인상이 왜 가격 하락에 영향을 줄까요? 그것은 주거비용과 관련이 깊습니다.
사실 전세가격은 `12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상승해 왔습니다. 하지만 전세금 마련을 위한 금융비용은 크게 상승한다는 느낌이 없었기때문에 집주인이 전세금 올린다고해도 쉽게 올려줘왔습니다. 그 이유는 금리 또한 지속적으로 인하해 왔기때문이죠. 즉, 전세자금대출의 이자비용이 크게 오르지 않았기때문에 지금의 서울 10억대 전세가까지 올랐던겁니다. 하지만, 금년 금리가 급격히 인상되면서 크게 오르지 않은 월급대비 이자비용이 너무 부담이 될 정도가 된 것입니다. 그래서 임차인들은 상대적으로 비용이 덜 드는 월세로 계속 전환하려고 하고, 이는 전세하락에 가속화를 유발한 것입니다. 보통 월급의 20%이상으로 주거비용이 들어가면 생활에 압박을 많이 느끼게 되기때문에 임대료가 더 싼 주택을 찾아 이동하고 전세값은 하락하게 되는 것이죠.
국토부장관이 그래서 PIR(소득대비 주택가격비율)을 언급한 것이고, 주거비용 관점에서의 RIR(월소득 대비 월임대료)가 20%이하로 내려와야 전세가 하락이 멈출것으로 예상됩니다. 아래 정부에서 발표한 주거실태조사에서 과거 기록을 참고하면, 아마도 주택가격이나 전세가격은 `19년 수준으로 돌아가야 하락이 멈출 것 같습니다. 이때 기준금리가 2%수준이었고, 어쩌면 지금의 기준금리 3.25%에서 추가인상이 멈추고 단순히 금리인하한다고해서 주택시장이 살아나기보다 2%수준에 가까워야 시장이 다시 살아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물론 그사이 정부의 부동산 규제이 전부 해제된다는 전제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edPGkz/btrZR3JQb7h/nL3fVdH05C28wW0KTlZ0y0/img.png)
3. 전세가 대비 매매가 수준
사람들은 시점에 대해서는 분석을 많이 합니다. 금리가 다시 인하하는 시점을 본다던지, 전세가격이 다시 상승하는 시점이라던지 말이죠. 하지만 시점에 대해 고민하는 것 만큼 가격도 잘 잡아야 합니다.
우리나라 평균 전세가율은 55~60% 수준, 전세대비 매매가격 비중은 1.6~1.7배 정도 수준으로 유지되어 왔었습니다. 물론 시장 좋으면 2배도 가고 안좋으면 1.3배도 갔었고요. 따라서 가격을 잘 잡기 위한 평가 기준으로 전세가격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즉, 지금의 전세가 하락이 정부의 정책지원(전세대출금리지원)이나 기준금리 인하로 진정되고 다시 상방으로 방향을 잡을때 전세가율 60%이상, 매매가격이 1.6배 이하면 매수를 고려할만하다는 기준을 잡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예. 매매가 10억, 전세가 7억이면 전세가율 70%에 전세가 대비 매매가가 1.4배니 매수고려대상)
가격하락이 먼저 멈추는 시점은 결국 매매가격대에 따라 달라질 것 같습니다.
6~9억이하 주택이 올해 이미 거의 하락했습니다. 하지만 이 가격대는 정부의 특례보금자리론 등 시장금리보다 낮은 정책금리가 새롭게 적용되면서(기존에는 6억까지만 지원) 이자비용이 작기 때문에 하방지지가 강하고 매수세가 들어올 가능성도 높습니다. 9억이었던 아파트가 지금 6억이 됐다면 33%하락했고 더이상의 추가 하락보다는 상대적으로 싸졌다는 생각과 저렴한 정책금리로 가격 지지를 하거나 전세가 상승시 빠르게 가격 회복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에 9억초과는 비싼 시중금리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비싼 조달 및 주거비용으로 인한 전세가 하락이 매매가 추가 하락을 부추길 것으로 전망됩니다.
※ 같이 읽으면 좋은 글
2023.02.20 - [부동산 이슈] - 현재 부동산, 각자 상황에 맞게 전략을 세울 때 입니다.
현재 부동산, 각자 상황에 맞게 전략을 세울 때 입니다.
1. 개요 지금과 같은 부동산 하락기에 많은 분들의 마음이 편치 않을 것 같습니다. 직장에서 제 선배들이나 후배들 모두 부동산 때문에 고민이 많아서 제게 상담을 요청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네
realestate-rhapsody.tistory.com
'부동산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하반기 분양가상한제 적용 분양 단지 (1) | 2023.06.08 |
---|---|
2022년부터의 부동산 하락 주요 키워드 (0) | 2023.02.21 |
하락하는 부동산, 보유 할 지 매도 할 지 판단 기준 (0) | 2023.02.21 |
2008년 금융위기 부동산 하락과 비교한 현재 하락장의 장기화 여부 분석 (0) | 2023.02.21 |
현재 부동산, 각자 상황에 맞게 전략을 세울 때 입니다. (0) | 2023.02.20 |
댓글